보험회사에서 4세대 실손보험 전환을 위해 전환 시 납부금액을 1개월 면제나 1년 동안 할인납부 혜택을 내놓으며 4세대 실손보험을 장려하고 있다 기존 1세대 실손보험의 혜택이 좋은 만큼 왜 4세대 실손보험을 전환하라고 하는 것인지에 대해 합리적 의심을 하지 않을 수가 없다
내가 1세대 실손보험을 가지고 있다면 주체는 '내가'되어야 한다 보험은 설계사들에 따라 설계가 다 다르기 때문에 참고만 할 뿐 주체는 '내가' 되어야 하며 당장 납부금액이 적다고 4세대로 전환해서는 절대 안되고 현재 내 상황에서 기존 실비를 유지하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4세대 실손보험으로 전환했을 때 좋은지 잘 판단하여 결정해야 한다
기존 1세대 실손보험 유지
1. 기왕력이 있어 계속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 (기왕력이란? 환자가 과거에 경험한 질병을 의미한다) 현재 병원에 다니면서 치료 중이라면 기존 실손보험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과거 실손보험은 가입일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자기 부담금 10~20%인 반면 4세대 실손보험은 30% 높기 때문이다 또한 4세대는 일부 비급여 치료 항목의 경우 연한도 및 횟수제한도 있기 때문에 보상측면에서도 좋지 않다
2. 실손 납부금액 부담이 없는 경우
40대 기준으로 기존 1-2세대 실손보험료는 2~4만 원 정도된다 이 정도 금액이라면 굳이 4세대로 전환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내 보험료가 10만 원 가까이 된다면? 이러한 경우는 내 보험이 종합보험인지 증권을 확인해봐야 한다 단독실비보험 판매 전에는 종합보험으로 실손보험에 가입할 수 있었다 종합보험은 실손보험 외에 암진단비, 뇌혈관진단비, 수술비, 운전자보험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말 그대로 종합보험 안에 특약으로 실비보험이 들어가 있는 것이다 이는 단독실비보험을 내고 있는 사람보다 종합보험인지 모르고 내 실비가 비싸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실제 보험을 살펴보면 실손은 2~4만 원 정도 된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3. 40대지만 앞날을 예상하기 힘들다
사실 앞으로 병원에 갈 일이 많이 생길지 안 생길지는 모를 일이다 젊은 분들도 그렇지만 40대분들은 40대 이후 몸이 예전 같지 않다고 말하는 분들이 많기에 명확한 기준점은 없지만 실손금액이 부담스럽지 않다면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4세대 실손보험으로 전환
1. 실비보험이 많이 올라 경제적으로 유지하기 힘드신 분
실손보험은 의료과잉진료로 인하여 보험금 청구가 많아졌고 그로 인해 손실이 커진 보험사는 보험료인상을 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그 피해는 보험금 청구를 많이 하지 않는 일반적인 가입자들에게 전가된 상황이다 아무리 1세대 실손보험이 좋다고 해도 '내가' 부담 할 수 없는 어려운 환경이라면 해지가 아닌 4세대 실손보험으로 전환하는 게 현명할 수도 있다
종합보험 특약의 실손보험인 경우
비용 때문에 1세대 실손보험을 4세대로 변경하는 경우에 다행히 해지보다 전환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용부담이 아니라면 1세대 실손보험을 끝까지 가져가는 걸 추천하다
또한 종합보험 안에 실손보험이 들어져있는경우 실손보험이 10만 원이라고 오해하셔서 내 실손이 비싸다고 4세대로 변경하는 일은 없어야 하며 비용이 부담이라면 종합보험에서 실손보험 외 나머지 특약을 해지하면 3~4만 원대로 실손보험만 가져갈 수 있으니 이점 꼭 참고하길 바란다
댓글